CS/Git 5

[Git] Github으로 협업하기

이번에 github으로 오랜만에 협업을 진행하면서, 기억 저편에 있던 깃헙 사용방법에 대해서 정리하면서 진행해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. 나란 사람.. 벌써 다 까먹다니..😀 이 기회에 제대로 정리 잘 해서 다신 안 까먹어야겠다! 1. Fork 진행할 프로젝트의 Repository를 나의 Repository로 Fork한다. 2. Clone & Local Remote fork로 생긴 내 계정 Repository주소를 가지고 로컬 저장소에서 clone한다. 3. Branch 생성 로컬에서 코드를 추가하는 작업은 branch 만들어서 진행한다. 💡 Branch 관리하기 Branch 생성하기 : git branch [브랜치명] Branch 생성하고 체크아웃하기 : git checkout -b [브랜치명] B..

CS/Git 2024.01.07

[Git] Git의 스테이징 영역과 상태(add, commit, push)

이번 포스팅에서는 매번 헷갈리는 Git의 스테이징과 상태에 대해 정리해보고자 한다. 깃의 상태는 관점에 따라서 2가지로 나눌 수 있는데, 한개는 파일을 관리하는 관점으로 봤을 때의 3가지 상태이고, 나머지 한개는 깃의 LifeCycle 관점으로 봤을 때의 4가지 상태이다. 📌 Git의 3가지 영역 Working Directory : Git이 관리하는 파일들이 위치하는 영역 지정 디렉토리에서 .git 디렉토리를 제외한 모든것(파일, 하위 디렉토리) 작업한 파일(생성 및 수정)들이 저장되는 곳 Staging Area : Commit할 준비가 된 파일들이 위치하는 영역 .git 디렉토리에 단순한 파일로 존재 작업한 파일들 중 버전으로 만들고자(commit)하는 파일을 저장 git 기술용어로 "Index"라고 ..

CS/Git 2023.12.08

[Git] error:failed to push some refs to 에러 해결방법

git에 push하다가 이런 에러를 직면했다. git을 다루다보면 한번쯤 봤을 에러인데, 해결책을 맨날 까먹고 구글링하길래 적어본다. ❓원인 ✔️ push 하려는 github에 내 Local에 없는 파일이 존재하기 때문에 생기는 에러이다. ❗️해결방법 1. pull git을 먼저 pull해와서 현재 내 Local과 상태를 맞춰주어야 한다. git pull {원격저장소(보통 origin)} {branch(main, master ...)} 2. push 그 다음 동일하게 push를 해주면 잘 올라간다. git push {원격저장소(보통 origin)} {branch(main, master ...)} 그런데 이래도 해결이 잘 안될때가 있다. 이럴땐 강제로 그냥 올리는 방법도 있다. 정석적인 방법은 git pu..

CS/Git 2023.11.22

Git 시작하기(mac)

기본 맥의 Terminal을 이용해도 되지만 iTerm을 이용하는게 나을것 같아서 선택하였다. git관리 차원에서 iTerm을 좀 더 사용자화 하기 위하여 현재 branch를 보여주는 oh-my-zsh 테마를 적용하기로 했다. 1. 기본 shell z-shell(zsh)로 변경하기 -> 확인방법: echo $SHELL (없다면 brew로 설치) ->변경방법 : chsh -s zsh주소 2. brew로 wget설치하면 끝! [local] working directory(Untracked/Tracked-unmodified&modified) staging area(modified file만 존재가능) -commit-> .git directory --checkout-->working directory [remo..

CS/Git 2021.07.07
728x90